본문 바로가기
지원정보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신청법과 지역별 금액 한방에 보기

by SweatSpace 2025. 3. 24.
반응형

 

2025년 보조금 정책이 작년(2024)에 비해서 빠르게 공개되었었는데요.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전기차를 구매하시면 국가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지급받아 차량 금액을 할인 받을 수 있는데요. 
2025년 기준 현재 전기차 보조금 정책은 2024년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보겠습니다.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 개편

 

2024년과 비교하여 50~100만 원 가량 국비지원액 감소
차상위 이하 계층 구매시 국비지원액의 20% 추가 지원
다자녀 가구 (만 18세 이하 자녀 기준) 자녀 수에 따라 100만 원 ~ 300만 원 추가 지원
청년·생애첫구매인 경우 국비지원액의  20% 추가 지원

 

반응형

크게 보면, 2024년에 비해서 지원되는 금액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 보조금 신청 조건 변화는 
5,500만 원 미만 차량 100% 보조금 지급 → 5,300만 원 미만 차량 100% 보조금 지급
으로 차량 가격 기준이 200만 원 낮아져 차량 구매시 차량 가격을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또한 주행거리 기준도 변경이 되었는데,
400km → 440km로 40km의 주행거리 변화가 생겼습니다. 
중·대형 기준 최대 400만 원 → 300만 원 / 소형 기준 최대 300만 원 → 250만 원 / 초소형 250만 원 → 200만 원으로 50~100만 원 가량 감소했습니다.
기본 보조금 외에 추가로 지원되는 보조금 또한 변경 되었는데요
2025년에 2자녀 기준 100만 원, 3자녀 200만 원, 4자녀 이상 300만 원 추가 지원이 있으며, 청년·생애첫구매인 경우 20% 추가 지원이 있습니다.
(※ 청년·생애첫구매 : 만 34세 이하, 본인 명의로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이력이 없어야 함)

2025 전기차 보조금 이용 절차

반응형

보조금은 구매자가 직접 수령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차량 구매하면서 제조사에 서류를 제출하면 제조사에서 해당 지자체로 보조금 신청하는 방식으로
구매자는 차량가격에서 보조금을 제외한 나머지를 제조사에 납부하면 제조사가 지자체에 보조금을 수령하는 방식입니다.
신청서 접수 후 2개월 이내에 차량 출고 및 등록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조사(수입사)는 출고 스케쥴에 맞춰서 신청을 진행합니다.

2025 전기차 구매시 세금 감면

개별소비세 감면

개별소비세액이 3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개별소비세액 전액
개별소비세액이 3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300만 원 공제

(개별소비세의 감면은 2012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제조장 또는 보세구역에서 반출되는 자동차에만 적용)

교육세

납부해야할 개별소비세액의 30% 적용

(개별소비세액이 300만 원 이하인 경우 전액이 감면되어 교육세도 면제, 300만 워능ㄹ 초과하는 경우에는 300만 원이 감면된 금액에 100분의 30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이 교육세액)

반응형

취득세 감면

취득세액이 140만 원 이하인 경우 취득세를 면제
취득세액이 14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취득세액에서 140만 원을 공제

(2026년 12월 31일까지)

2025 전기차 보조금 금액 알아보기

보조금 지급 현황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보조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차량별 보조금이 상이하니 자세한 내용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1. 광역시 보조금 정보

2. 경기도 보조금 정보

3. 강원도 보조금 정보

반응형

4. 충청북도 보조금 정보

5. 충청남도 보조금 정보

6. 전라북도 보조금 정보

7. 전라남도 보조금 정보

반응형

8. 경상북도 보조금 정보

9. 경상남도 보조금 정보

2025년 03월 24일 (월) 기준 현재 2025년 상반기 벌써 마감된 지역이 보이네요.
세종, 천안, 전주, 거창, 전주, 완주군,아산 등이 마감 된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하반기 신청이 따로 있으니 이미 마감된 지역은 하반기를 노리셔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