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혹시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하려고 알아보셨나요?
저는 아직도 이 제도가 살아있는 줄 알았는데, 지인이 물어봐서 알아보니
아쉽게도 2024년을 끝으로 해당 제도는 종료되었더라구요.
좋은 제도였는데 아쉽다고 생각했는데, 실망은 금물!
2025년 현재도 내일채움공제는 다른 형태로 계속 운영 중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금 신청 가능한 최신 공제 제도를 알려드릴게요.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왜 종료됐나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 2년형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024년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습니다.
정부는 청년도약계좌와 같은 보다 통합된 청년 자산형성 정책으로 방향을 옮기고 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목돈 마련 제도는 살아있습니다.
바로 아래 두 가지입니다: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5년형)
- 내일채움공제 3년형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2025년 기준)
청년이 5년간 꾸준히 재직하면서 적립하면 3,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제도예요.
✅ 신청 대상
- 만 15세 이상 ~ 34세 이하 청년 (군필자 만 39세까지)
- 중소기업 정규직 재직 중
✅ 적립 구조 (총 5년)
- 청년: 월 12만 원 → 총 720만 원
- 기업: 월 20만 원 → 총 1,200만 원
- 정부: 총 1,080만 원 (3년간 7회 분할)
총 수령액: 약 3,000만 원+
📌 자세한 내용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내일채움공제 3년형 (핵심인력 대상)
중소기업 핵심인력으로 인정받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제도입니다.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적립하면서 안정적인 자산을 형성할 수 있어요.
✅ 신청 대상
- 중소기업 핵심인력으로 지정된 정규직 근로자
- 기업이 자체적으로 신청한 경우만 가능
✅ 적립 구조 (총 3년)
- 근로자: 월 34만 원 이상
- 기업: 월 34만 원 이상
총 수령액: 최소 1,224만 원 이상 + 이자
📌 신청 및 확인: 내일채움공제 3년형 안내 바로가기
내일채움공제 vs 청년도약계좌, 뭐가 더 나을까?
내일채움공제는 직장 재직자를 위한 제도이고,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청년 전체가 대상이에요. 두 가지 모두 동시 가입은 어려울 수 있지만,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좋습니다.
✅ 추천 포인트
- 중소기업 재직 중이라면 → 내일채움공제
- 프리랜서, 비정규직, 공무원 준비생 등 → 청년도약계좌
함께 보면 좋은 글
- 2025년 근로·자녀장려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 초중고 교육비, 지금 신청하면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 2025년 중소기업 장기근속자 주택 우선공급 신청 방법 총정리
- 2025년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조건부터 신청법까지
태그: #내일채움공제 #청년공제 #2025정부지원 #중소기업지원 #공공정책
반응형